반복영역 건너뛰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기업평가 진단
  • 오픈마켓
  •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기검색어

    • 창업
    • 1
    • 6
    • 2021
    • 6차산업
    • 농촌
    • 입주

팜테이너 로고

  • 센터 소개
    •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사업소개
    • 운영규정
    • 조직도
    • 오시는 길
  • 입주안내
    • 입주신청안내
    • 입주비용
    • 지원안내
    • 입주기업
    • 제품소개
    • 창업상담(1:1)
    • 기업평가 진단
  • 주요 지원사업
    • 사업공고
    • 창업 교육
    • 창업 컨설팅
    • 사업화 경비지원
  • 알림마당
    • 공지사항
    • 홍보자료
    • 창업 정보마당
    • 자료실
    • Q&A
  • 커뮤니티
    • 가족기업
    • 협력기관
    • 현장스케치
  • 알림마당

    • 공지사항
    • 홍보자료
    • 창업 정보마당
    • 자료실
    • Q&A
    • Home
    • 알림마당
    • 자료실

    자료실

    2021년 동반성장주간 기념식 개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858회 작성일 21-11-03 15:25

    본문

    2021년 동반성장주간 기념식 개최

    “새로운 상생의 길, 대한민국 경제의 원동력”

    □ 올해 18회를 맞은 동반성장주간 기념식을 통해 대‧중소기업 등 동반성장에 기여한 유공자 및 기업‧공공기관 격려 및 포상

    □ 정재욱 현대위아 대표이사 은탑산업훈장, 이시용 LG전자 전무 동탑산업훈장 등 동반성장 유공자 포상 56점 수여

    □ 34개 자상한 기업 소개 및 그간의 상생협력 성과 공유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동반성장위원회(위원장 권기홍, 이하 동반위)와 함께 11월 3일(수)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21년 동반성장주간 기념식’ 행사를 개최했다.
     
     <동반성장주간 기념식 개요> 
      
    ▪ [일시 · 장소] 2021. 11. 3(수) 16:00~17:00 / 중기중앙회 지하1층 KBIZ홀
    ▪[참석자]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학영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위원장권기홍 동반성장위원장, 김순철 대‧중소협력재단 사무총장, 유공자 등
    ▪ [주요내용]
    ∘ (유공자 포상) 정부포상 15점(현장), 장관표창 41점(현장 1점, 온라인 40점) 등 56점
     
    법정행사로써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하는 동반성장주간 기념식은 동반성장 유공자 포상과 한 해의 상생협력 성과를 공유하는 장으로 진행됐다.
     
    ➊ 동반성장 유공자 포상
     
    영예의 은탑 산업훈장은 정재욱 현대위아 대표이사, 동탑 산업훈장은 이시용 LG전자 전무가 수상했다.
    정재욱 현대위아 대표이사는 37년간 현대차그룹, 현대위아에서 근무하면서 1조원대의 납품대금을 지급기일보다 최대 23일 빨리 지급해 코로나19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협력기업을 지원하고,
    납품대금조정협의제도 운영을 통한 납품대금 인상 등 공정한 거래환경을 위한 공로 등을 인정받아 은탑산업훈장을 수상했으며,
     
    이시용 엘지전자 전무는 상생결제시스템을 2차 이하 모든 협력사까지 확대해 협력사 간 대금지급 조건을 개선함으로써 중소협력사의 유동성을 개선하고 스마트공장 지원으로 협력사 매출 확대에 기여한 공로 등을 인정받아 동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또한 김장현 한전KDN 사장이 산업포장을 수상하는 등 유공자 포상으로 총 56점이 수여됐다
     
    ❷ 자상한 기업 소개 및 상생협력 성과 공유
     
    대기업‧유니콘벤처 등 34개 자상한기업(자발적 상생협력 기업)이 123조원 규모의 협약을 체결해 비협력사의 스마트공장 구축 및 자금지원, ESG 경영지원, 소상공인 온라인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고 있다.
     
    상생협력기금은 최근 5년간 9,610억원이 조성되어 대‧중소기업 간 기술협력, 임금격차 완화, 협력사 복리후생 등 상생협력 촉진을 위해 활용되고 있으며,
     
    상생결제 운용 실적도 최근 5년간 540조원을 넘어서는 등 중소기업이 판매대금을 제때에 안전하게 지급받을 수 있는 결제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또 벤처·스타트업의 핵심 자산인 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비밀유지계약 체결을 의무화했으며,
     
    손해배상 소송 시, 수탁기업의 입증책임을 완화하는 한편, 징벌적 손해배상제(3배 이내)를 도입했고,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를 통해 ’17년부터 ’20년까지 7,968억원의 미지급 대금을 구제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거래관행 개선도가 지속 향상(’17년 86.9점→’20년 96.7점)되는 등 법‧제도 정비 등을 통해 반칙과 갑질 없는 공정한 경제생태계가 구축되고 있다.
     
    기념식 외에도 부대행사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투자기관과 스타트업 간 네트워킹의 장인 ‘대-스타 동반성장 IR프로그램*’이 11월 4일 열리며,
     
    전국 78개 대기업‧공공기관에서는 동반성장주간(11.1~11.5) 전‧후로 중소기업 제품 구매상담회 등 154건의 동반성장 행사를 자발적으로 개최한다.
     
    * 스타트업의 IR피칭 및 스타트업과 투자자간 상생협력 투자 네트워킹으로 구성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중소기업‧소상공인과의 동반성장에 노력한 대기업, 공공기관 유공자에게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신해 감사를 드린다”면서,
     
    “전통적인 대기업-협력사 간 상생관계를 넘어 미거래 중소기업, 스타트업, 소상공인까지 상생협력의 대상이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동반성장위원회 권기홍 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시대가 변화할수록 기업 간 협력과 공생을 통한 동반성장에 대한 요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라며,
     
    "동반성장 전략은 기업 관계가 갑을관계가 아닌 평등한 관계를 지향할 때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상생협력정책과 전상민 사무관(☎044-204-7922) 또는 동반성장위원회 운영부 이면헌 부장(☎02-368-8422)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2021 동반성장주간 기념식???? 행사 개요
     
    1. 행사개요
     
    ㅇ (목 적)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촉진하고 동반성장에 대한 대국민 이해와 관심을 증진하기 위한 동반성장주간 행사 추진
     
    * 근거 법률 : 「상생협력법」 제20조의3(동반성장주간, 11월 첫째 주)
     
    ㅇ (일시‧장소) 11.3(수) 16:00 ~ 17:00, 중기중앙회 지하1층 KBIZ홀
     
    ㅇ (참석자) 중기부 장관, 이학영 산자중기위원장, 동반성장위원장,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정부포상 수상자 등 50여명
     
     
    2. 행사내용
     
    ㅇ 행사주제 : “새로운 상생의 길, 대한민국 경제의 원동력”
     
    ㅇ 운영방식 : 현장행사(50명 내외) + 온라인 참석*(40명 내외), 생중계
     
    ㅇ 주요내용 : 유공자 포상, 우수사례 영상상영 등
     
    ▪ [포상] 정부포상 15점(훈장2, 포장1, 대표6, 국표6) : 현장 / 장관표창 41점 : 온라인 병행
     
    3. 진행순서
    시간프로그램(안)비고
    16:00~16:022‘???? 행사장 입장, 국민의례-
    16:02∼16:042‘???? 참석자 소개 및 인사-
    16:04∼16:095‘???? 주제영상 시청-
    16:09∼16:156‘???? 개회선언 및 환영사동반위원장
    16:15~16:172‘???? 영상축사국무총리
    16:17∼16:203‘???? 격려사중기부 장관
    16:20~16:233‘???? 축사이학영 산자중기위원장
    16:23∼16:285‘???? 수상기업 상생협력 우수 사례 영상 시청 
    16:28∼16:4820‘???? 유공자 포상(정부 포상 15점) *현장중기부 장관
    16:48~16:5810‘???? 유공자 포상(장관 포상 41점) *현장 1점, 온라인 40점중기부 장관
    16:58∼17:002‘???? 자상한 기업 소개 및 성과 홍보 영상-
    참고2 주요 포상자 명단
     
    훈격성명주요 공적내용
    은탑
    산업훈장
    ▪ 소·부·장 경쟁력 강화 지원(’20년)
     
    ∙ 측정기 무상 교정 2,642건, 품질개선 184개사 지원
     
    ▪ 성과공유제 도입 및 운영(’20년)
     
    ∙ 17개사 대상 27건 과제 등록, 개사 대상 26건 과제 확인
     
    ▪ 협력기업에 납품대금 조기 지급 및 상생결제를 통해 협력사의 현금유동성 확보에 기여
     
    ∙ 납품대 선급금 등 총 1조원 지급(’20.2)
     
    ∙ 기업‧신한‧우리은행, 농협과 상생결제 협약을 체결, ’20년도 4,313억원(1,991건) 실적 달성
     
    ▪ 협력사와 공동 연구개발 등 기업 경쟁력 강화
     
    ∙ 경남 밀양 하남산단 상생형 일자리 추진을 통해 505명 신규고용(신규투자 3,403억원)
     
    ▪ 공정 거래환경을 위해 납품대금조정협의제도 운영
     
    ∙ ’20년 납품단가조정협의제도 운영을 통해 366개사에 2,214억원 대금 인상
    정재욱
    현대위아 대표이사
    동탑
    산업훈장
    ▪ 성과공유 관련, 전담조직 구성, 과제 수행절차가 포함된 내부규정 마련 등 성과공유 확산에 기여
     
    ∙ 성과공유제 전담조직 운영, 확인과제 107건, 성과공유 금액 77억원 달성(3년간)
     
    ▪ 2차 이하 협력사까지 자금 유동성 개선에 기여
     
    ∙ 7대 은행과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1차협력사 대상 100% 가입 달성
     
    ∙ 1·2차 협력사 간 상생결제 실적 개선 유도(’19년 3,673억원 → ’20년 5,314억원, 전년대비 45% 향상)
     
    ▪ 협력사 제조경쟁력 확보를 통한 매출 확대 지원
     
    ∙ 스마트공장 및 솔루션 구축 지원, 공동 기술개발 등을 통해 협력사 매출액 확대에 기여
    (’19년 5.1조원 → ’20년 6.3조원, 전년대비 22.9% 향상)
    이시용
    LG전자 전무
    산업포장▪ 동반성장 추진 관련 예산을 확대, 사회적 가치 실현
     
    ∙ 중소기업 R&D지원, 지역아동센터 전산실습실 구축,
    사내벤처 지원 등 * (‘18) 7.2억원 → (’19)12.3억원 →(‘20)25.7억원(’18년대비 257% 증가)
     
    ▪ 중소기업 해외판로 개척 지원
     
    ∙ 해외 신규계약 4백만 달러 발생, 해외인증 31건 취득, 해외홍보관 11,970회 방문 등 실적 달성
     
    ▪ 국내 제조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제고
    ∙ ’18년부터 ’20년까지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으로 생산성 31.1% 향상, 품질 57% 향상, 비용 37% 절감 달성
    김장현
    한전KDN 사장
    참고3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유공자 명단
     
    □ 총 56점(훈장 2, 포장 1, 대통령표창 6, 국무총리표창 6, 중기부 장관표창 41)
    연번훈격소 속직급(직위)성 명연번훈격소 속직급(직위)성 명
    1은탑산업훈장현대위아대표이사정재욱29장관이랜드월드과장권오규
    2동탑산업훈장LG전자전무이시용30장관포스코과장김기현
    3산업포장한전KDN사장김장현31장관공영홈쇼핑팀장한소정
    4대통령한국국토정보공사실장한길동32장관아이티공간대표이사이영규
    5대통령SK텔레콤-(단체)33장관아토머스대표이사김규태
    6대통령이마트-(단체)34장관메가젠임플란트팀장신현재
    7대통령SK E&S-(단체)35장관한국주택금융공사-(단체)
    8대통령우아한형제들-(단체)36장관한국남부발전-(단체)
    9대통령에이스엠 (단체)37장관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단체)
    10국무총리GS리테일매니저연정훈38장관한국전력기술-(단체)
    11국무총리아이브스대표이사배영훈39장관한국수자원공사-(단체)
    12국무총리국민연금공단-(단체)40장관중소기업유통센터-(단체)
    13국무총리한국중부발전-(단체)41장관코리아세븐-(단체)
    14국무총리현대백화점-(단체)42장관엘지생활건강-(단체)
    15국무총리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단체)43장관국토안전관리원-(단체)
    16장관현대모비스책임매니저하성우44장관롯데지알에스-(단체)
    17장관신한은행부부장조지형45장관한국디자인진흥원-(단체)
    18장관신성델타테크대표이사문준명46장관금천구시설관리공단-(단체)
    19장관국민은행차장박종찬47장관한국조폐공사-(단체)
    20장관두산중공업차장김기범48장관국립생태원-(단체)
    21장관두산부장이재혁49장관결초보은시장상인회-(단체)
    22장관SK에코플랜트그룹장김관용50장관한울푸드-(단체)
    23장관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과장정지인51장관한국인삼공사-(단체)
    24장관한국남동발전차장김수영52장관태광후지킨-(단체)
    25장관기술보증기금차장정두환53장관서울교통공사-(단체)
    26장관SKC부사장김종우54장관터보파워텍-(단체)
    27장관한국전력공사차장김태경55장관벨로크-(단체)
    28장관유라코퍼레이션실장조병옥56장관지알켐-(단체)
    참고 4 상생협력 정책 추진현황과 성과
     
    1. (상생협력) 대기업 자원(자금, 설비, 유통망)+중소기업 기술과 아이디어+정부 지원 ⇨ 삼박자가 어우러져 다양한 상생협력 모델 창출
     
    ???? 대기업, 유니콘벤처의 자발적 참여로 상생협력의 저변 확대
     
    ◦ (자발적상생한 기업) 대기업·유니콘(34개사)과 123조원 규모 상생협약 체결 ⟹ 비협력사에 스마트공장 구축, 자금지원, 판로개척, ESG경영 등 지원
     
    * 금융지원 99조원, 판로확대 19.0조원, 벤처펀드 출자 3.9조원, 기타 6천억원 등 123조원 지원 약속
    ** 세계경제포럼(WEF, ‘20.1)은 ’자상한 기업‘ 정책을 포용적인 성장모델로 평가
     
    - 협력대상을 확대하여 소상공인의 온라인 시장 진출 등을 지원
     
    사례 ????프레시지 : 식당 메뉴를 밀키트(13종)로 제작→‘21.8월 기준 25만여개 판매
     
    ????네이버 : 파트너스퀘어 설치(6곳), 정보검색 서비스 강화 등 온라인 진출지원, 웹페이지 무료제작(130개사), 라이브커머스 툴 제공 등
     
    ◦ (상생협력기금출연 증대) 5년간(’17~‘21.9) 9,610억원의 기금을 조성하여, 생산성 향상, 협력사와 성과공유, 자금융자, 기술개발비 등을 지원
     
    * 출연액(억원) : (’17)1,571 → (’20) 2,572 → (’21.9) 1,448
    <상생협력기금 출연(단위 :억원) >
     
    ◦ (공정거래협약 확대) 상호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협력업체에 자금 및 기술을 지원하는 협약참여 대기업 수 대폭 증가
     
    * 협약 기업수(공정위, 개) : (’17)229 → (’20)343 / 지원기업 수(개) : (’17)41,653 → (’20)80,311
     
    2. (공정경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사업영역 보호와 甲의 불공정 행위 근절을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크게 개선
     
    ???? 업역 보호를 통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동반성장 기반 마련
     
    ◦ (사업영역보호) 「생계형 적합업종법」 시행(’18.12), 가맹분야 표준계약서 개정 등 중소·소상공인의 사업영역과 영업권 보장 제도 강화
    - 적합업종 지정 및 상생협약 체결로 관련 업계 약 24만개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사업영역 보호 및 경쟁력 확보 기회 제공
     
    * 지정·상생협약실적(‘17~’21.9) : 중소기업적합업종 55건, 생계형적합업종 23건, 사업조정 153건
    사례 ????포스코케미칼-한국석회가공업협동조합: 생석회 산업의 발전을 위해 상생협약(2018.07) 이후 환경이슈 논의 및 온실가스·미세먼지 저감기술 교류회 마련
     
    ????롯데칠성음료-서울장수: 막걸리 대·중소기업 상생협약(2020.08) 이후 롯데칠성음료는 막걸리 직접제조를 자제하고, 서울장수와 공동으로 해외시장 진출
     
    - 가맹점주의 영업지역 보호(‘19.1), 10년 이상 장기점포의 계약갱신을 보장(‘19.5)하여 가맹점주의 안정적 사업 기반 마련
     
    * 가맹본부의 91.8%가 표준가맹계약서를 사용(공정위, ’18년 실태조사)
     
    ???? 법·제도 정비 등을 통해 반칙과 갑질 없는 공정한 경제생태계 마련
     
    ◦ (갑질피해구제) 조정·중재를 통해 불공정거래·기술침해 피해를 구제하는 민관합동 ‘상생조정위원회(위원장 중기부장관)’ 설치·운영(’19.6)
     
    * 상생조정위원회 출범이후 총 9회 개최, 불공정거래 사건 61건 심의하여 28건 조정 완료
     
    사례 ????납품대금 조정: 수·위탁기업 간 납품단가 조정 관련 분쟁을 조정신청 후 43일만에 6% 인상 합의(조정성립) (영업이익 연 2억원 증가)
     
    ◦ (기술탈취방지) 비밀유지계약 체결을 의무화하고, 손해배상소송 시 수탁기업의 입증책임 완화 및 징벌적 손해배상제(3배 이내) 도입(‘21.8)
     
    사례 ????기술분쟁 해결: 현대중공업과 삼영기계 간의 6년간 지속된 피스톤 관련 기술분쟁(민·형사 등 총 12건)을 기술침해 행정조사를 통해 조정하여 합의를 도출함으로써 처벌이 아닌 상생으로 분쟁 해결
     
    ???? 중소기업이 판매대금을 제때 제대로 받을 수 있는 결제환경을 조성
     
    ◦ (상생결제확대) 5년간(’17~‘21.9) 540조 8,192억원을 상생결제로 납품대금을 지급하여 중소협력사의 자금여건 개선
     
    * 상생결제금액(조원): (’17)93.6→(’18)107.4→(’19)115.6→(’20)119.8→(’21.9)104.4
     
    ◦ (납품대금조정) ‘납품대금조정협의제도’ 도입(‘19.7) 후, 납품단가 인상사례 증가*,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를 통한 미지급대금 구제** 추진
     
    * (‘19) 63개사 조정협의→54개사 인상(85.7%)→(’20) 149개사 조정협의→144개사 인상(96.6%)
    ** 미지급 구제금액(억원) : (’17)1,989 → (’18)2,265 → (’19)1,878 → (‘20)1,836
    ◦ (거래관행개선) 납품대금의 현금결제 비율이 증가(’17년 62.3% → ‘20년 83.7%)하고,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거래관행 개선도도 향상(’17년 86.9% → ‘20년 96.7%)
     
    < 하도급대금 현금‧현금성 결제율 (단위: %)><거래관행 개선도>
    * 자료 : 하도급거래 서면실태조사(공정위)
     
    3. (새로운 상생모델) 대기업이 협력사 중심의 상생협력을 탈피하여 비협력사, 소상공인과의 상생협력으로 국가적 위기 극복 지원
     
    ???? 국가적 위기 극복과정에서 새로운 상생협력 모델 등장
     
    ◦ (소부장협력) 민관 합동 소부장경쟁력위원회를 통해 338대 국산화 품목을 발굴하고 대·중소기업간 기술로드맵을 공유하면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양산체제 구축을 지원하는 협력체계를 구축
     
    * R&D‧금융‧인허가 기간단축, 신속통관 등 패키지 지원(‘21.9월 기준, 총 34개(산업부 21, 중기부 13))
     
    ◦ (한국판뉴딜) 대기업이 자재, 설비, 인력을 지원하여 디지털전환과 그린뉴딜을 위한 신기술을 협력사와 공동개발, 성과공유를 통해 동반성장
     
    사례 ????LG유플러스-다보링크: 개선된 와이파이 공유기 공동개발 → LG유플러스는 단가 5%인하 및 무선성능 30% 개선, 다보링크는 구매물량 확대로 매출액 증가(19.3억원)
     
    ◦ (K-방역) 중소기업 스마트 공장 지원을 통해 「①방역·예방→②진단·검사→③백신·치료」로 이어지는 K-방역의 단계별 솔루션 공급과 수출 확대
     
    사례 ????마스크: 화진산업 등 4社 합계 1일 생산량이 기존 92만개에서 139만개로 51% 증가
     
    ????진단키트: 솔젠트는 생산성이 약 73% 가량 대폭 증가했고, 제품 불량률이 40% 개선
     
    ????주사기: 풍림파마텍은 1개월 만에 LDS 백신주사기 月1,000만개 이상 대량양산체계 구축
     
    ◦ (수출물류지원) 임시선박 투입, 중소기업 전용 선적공간 확보 등을 통해 수출선적 확보에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의 물류부담 완화
    사례 ????해상물류: 해수부‧중기부‧HMM 상생협약으로 선적지원(86회/14,204TEU, ‘21.9)하고, HMM은 장기계약 체결로 안정적 물량 확보
    참고 5 대–스타 동반성장 IR프로그램
     
    □ 행사개요
     
    ◦ (추진목적) 투자자-스타트업간 만남의 장 마련을 통해 투자 활성화
     
    ◦ (행 사 명) 대-스타 동반성장 IR프로그램
     
    ◦ (일시/장소) 11.4일(목), 15:00~17:00/온라인(ifland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 (참가기업) 투자자, 스타트업 관계자 등 20명
     
    - 투자자 : CVC, 대기업 투자부서, 1금융권 VC, 기술지주 등 9개사, 투자심사역 10명
     
    * (참여현황) 현대자동차 제로투원팀(현대자동차그룹) 포스코기술투자(포스코그룹), 롯데벤처스(롯데그룹), NH벤처투자(농협지주), KB인베스트먼트(KB금융지주), 코오롱인베스트먼트(코오롱그룹), 이수창업투자(이수그룹), 아주아이비투자(아주그룹),포스텍기술지주(포항공대)
     
    - 스타트업 :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10개사 내외
     
    * (접수현황) TIPS프로그램 참여 스타트업 등 59개사 신청‧접수
     
    ◦ (시간구성) 피칭, (투자) 상담회
    시 간프 로 그 램비 고
    15:00~16:20(80‘)IR(기업 당 5분 피칭, 3분 Q&A)스타트업 10사
    16:20~17:00(40’)상생협력 투자 네트워킹투자자, 스타트업
     
    ◦ (IR피칭) 참여 스타트업이 메타버스 공간에 마련된 메인무대에서 5분 피칭 및 3분 Q&A(PPT 등 발표자료 활용)
     
    ◦ (상생협력 투자 네트워킹) 참가자간 2회 매칭 1:1 투자 상담 후, 자유롭게 투자상담 및 네트워킹 

    첨부파일

    • 211104_21년_동반성장주간_기념식_개최상생협력정책과.hwp (6.6M) 32회 다운로드 | DATE : 2021-11-03 15:25:36
    • 목록
    • 이전글‘2021년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및 기능경진대회’ 개최 21.11.05
    • 다음글청소년 창업 축제 ‘비즈쿨 페스티벌’3일부터 시작 21.11.03
맨위로

대표전화053.856.3838

  • 관련사이트
    • 오픈마켓
    • 경산시
    • 농어촌공사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중소벤처기업부
    • 창업진흥원
    • K-스타트업
    •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 K-ICT 창업멘토링센터
    •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 경북지식재산서비스센터
    • 경북테크노파크
    • 경상북도
    •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 벤처기업협회
    • 창업보육협회 코비아
    • 기업마당
    • 벤처인
    • 기술보증기금
    • 신용보증기금
    • 에코다임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오시는 길

상호 : 팜테이너(글로컬6차산업창업문화센터)   센터장 : 김병국   주소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30 C동 201호   문의전화 : 053-856-3841   개인정보관리자 : 이지현

COPYRIGHT(C) 2018 팜테이너. ALL RIGHTS RESERVED.